부처님의 진신 사리를 모신 5대 적멸보궁
강원도 영월군 수주면 법흥리 사자산 남쪽 기슭에 자리한 법흥사는 우리나라 5대 적멸보궁의 하나로서 신라 선덕여왕 12년(643년) 자장율사에 의해 창건된 유서 깊은 고찰이다. 자장율사가 중국 종남산 운제사에 모셔져 있는 문수보살의 석상 앞에서 7일간의 정진기도 끝에 문수보살을 친견하고 문수보살로부터 부처님의 진신 사리와 가사·발우 등을 전수받아 오대산 상원사, 태백산 정암사, 영취산 통도사, 설악산 봉정암 등에 봉안하고, 마지막으로 이 절을 창건하여 진신 사리를 봉안하고 흥녕사라고 이름 붙였다.
한국의 대표적인 불교 성지 중의 하나인 법흥사는 한때 2천여 명의 수도승이 운집하기도 했던 큰 가람이었으나, 수차례의 화재로 인해 절간을 모두 소실하고 현재 유적으로는 옛 흥녕선원의 위세를 짐작케 하는 3개의 석탑과 1개의 수호석불좌상이 있다. 또한 자장율사가 수도하던 토굴, 한국 5대 보궁 중의 하나인 법흥사 적멸보궁과 진신 사리를 봉안했다는 법흥사 부도(강원유형문화재 제 73호), 당나라에서 사리를 넣어 사자 등에 싣고 왔다는 석분(강원유형문화재 제 109호), 흥녕사 징효대사 보인탑 (보물 612호), 징효대사 부도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 72호), 흥녕선원지(강원도 지정 기념물 6호)가 있고 종이가 없던 시절 인도 영라수 잎에 범어로 기록한 패엽경 등의 소중한 삼보종재가 남아있으며 법흥사 주변에는 천연기념물 제 242호인 까막딱따구리가 서식한다.
법흥사에서 적멸보궁으로 이어지는 소나무 숲길은 국내에서 손꼽히는 경승지 중 하나다. 사찰로 들어가는 오솔길의 소나무 숲이 장관이고 사찰 앞에 줄줄이 이어진 아기자기한 아홉 개의 봉우리(구봉대) 역시 일품인 곳이다.
643년 | 신라 자장율사에 의한 창건, 부처님 진신사리 봉안 |
---|---|
891년 | 병화로 소실 |
944년 | 고려 혜종 원년 중건 이후 소찰로 명맥 유지 |
1902년 | 흥령사에서 법흥사로 개병 |
1912년 | 화재로 소실 |
1930년 | 중건 |
1932년 | 산사태로 석함 일부 유실 |
1946년 | 적멸보궁 중수 |
1991년 | 17평 규모의 적멸보궁 중창 대불사 (주지 삼보스님) |
1999년 | 적멸보궁 법흥사 대불사 시작 (주지 김도완 스님) |